박한샘 - 近似點 Approcher

2016.07.22 ▶ 2016.08.24

송은 아트큐브

서울 강남구 대치동 947-7 삼탄 B/D 로비

Homepage Map

초대일시ㅣ 2016년 7월 22일 금요일 06:00pm

페이스북 트위터 링크 아이콘
  • 작품 썸네일

    박한샘

    섶섬 2 한지에 수묵, 180×508cm, 2016

  • 작품 썸네일

    박한샘

    목섬 1 한지에 수묵, 180×381cm, 2015

  • 작품 썸네일

    박한샘

    털미섬 2 한지에 수묵, 162×620cm, 2015

  • 작품 썸네일

    박한샘

    털미섬 4 화선지에 수묵, 129×394cm, 2015

  • Press Release

    회화를 대하는 태도에 관한 소론
    박한샘은 회화 작업을 하는 작가이다. 한국화를 전공했지만 넓은 범주에서 보면 회화 작가라고 해도 틀리지 않을 것이다. 한국화는 말할 것도 없이 회화 또한 마찬가지로, 유구한 역사를 지나오며 그 존재 가능성에 대한 논쟁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다. 오늘날에 들어서는 구상, 추상을 막론하고 회화 작가라고 하면 시대를 역행한다는 오해를 사기도 한다. 로봇이 인간을 대신하는 최첨단의 과학이 발달한 시대이니 오로지 '몸으로 그린다'는 행위가 시대착오적으로 느껴질 법도 하다. 그런데 아이러니하게도 여기에 회화의 종말을 고할 수 없는 중요한 지점이 내포되어 있다. '몸'으로 그린다는 것. 아무리 기계문명이 발달한들 인간 몸의 감각은 어떤 것으로도 대체될 수 없다. 회화는 작가가 몸의 모든 감각을 동원해 경험한 것을 담아낸 결과물이다. 여기에서 작가가 담아내는 것은 단순히 세계에 대한 이야기나 재현이 아니다. 우리 눈에 보이지 않지만 존재의 근원을 이루는 본성, 그 깊이를 가시적으로 표출해내는 것이 회화이자, 회화를 하는 작가의 책무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박한샘의 이번 개인전 "近似點_Approcher"(2016)를 마주할 때 '섬'이라는 대상에 대한 내용을 읽으려고 하기보다 섬이 놓인 공간에서 느껴지는 감정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물론 그 섬은 그저 아무 섬으로나 대체될 수 있는 그런 하찮은 존재는 아니다. 그보다는 오히려 현실감을 한순간 잊게 만들 만큼 강렬한 경험을 동반하는 현장이다. 한 예로 「털미섬_6」(2016), 「목섬」(2015) 등은 대부도에서 작가가 목격한 태양후광현상, 폭풍, 일몰 등을 토대로 당시의 느낌과 공간의 기운을 회화로써 표현한 것이다. 작가는 작업을 위해 이러한 소재를 의도적으로 찾아 나선 것이 아니라 늘 몸의 감각을 열고 다니다가 우연히 이런 사건을 마주한 현장으로부터 작업을 시작한다. 현장의 시공간에 대한 몸의 반응을 화폭에 담고 그것을 최대한 근사(近似)하게 관람객이 느낄 수 있도록 제3의 공간에 옮겨놓는 것이 작업의 주된 지점이다. 작가가 온 몸의 감각을 열고 느낀, 뇌리에 박혀 떠나지 않는 사건의 느낌을 가시적으로 창조하기 위해 그리고 지우기를 반복하고 때론 강한 조명을 쓰거나 전시장 벽과 바닥의 명도를 달리하는 등 부가적인 장치의 개입을 시도하기도 한다.

    그런데 당연한 얘기지만 작가가 처음 현장에서 느낀 느낌과 전시장에서 관람객이 가져갈 느낌이 온전히 같을 수는 없다. 같은 현장에 있다 하더라도 사람마다 느끼는 감각은 다 다르다. 최대한의 근사치를 뽑아내려 한다고 말하지만 사실 이 '다름'에 대해 작가는 처음부터 누구보다 잘 알고 작업에 임했을 것이다. 오히려 작가는 제3의 공간에 관람객이 들어오는 순간부터 새롭게 촉발될 사건, 개개인이 갖는 시공간에 대한 경험이 교차하는 지점에 더 초점을 맞추고 있다. 2차원의 평면으로 일컬어지는 회화는 작품을 마주하는 관객과 그것이 놓인 공간 모두를 품음으로써 또 다른 차원으로써 진화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우리는 동시대 회화의 역할이나 새로운 방법론에 대해 논하기 이전에 작가가 그저 몸 전체로 존재를 느끼고 담아내는데 충실했다는 점을 먼저 상기해야 한다. 존재 속에 파고들듯 대상을 보고 또 보면서 말로 설명될 수 없는 어떤 지점(우리가 흔히 아우라Aura라고 칭하는)을 포착하려고 애썼다는 점을 말이다. 바로 이것이 서두에서 말한 회화 작가로서의 책무라 말하고 싶다. 아무런 의도나 목적 없이, 의무도 없이 그저 순수하게 있는 그대로를 바라보는 것. 그로 인해 존재의 뿌리에 한 발짝 다가서는 것. 박한샘은 가장 기본에 충실한 태도로써 회화의 지속 가능한 생존방식을 제시하고 있는 셈이다. ■ 이지나

    An Opinion on Attitudes about Paintings
    Park, Han-Saem is a painter. Though schooled in arts of traditional Korean painting, he safely falls into the broad category of a painter. Through its long enduring history, painting, including Korean painting, has been subject to relentless conversations that question its existential validity. These days, claiming to be a painter can buy you the reputation of being retrograde regardless of style, whether it is art figurative, abstract, etc. Seeing that we are living in the most technologically advanced period where robots are replacing humanly tasks, the act of "drawing with your body" can be deemed as outdated. But ironically, this is precisely what holds the point that prevents us from declaring painting is dead. Drawing with your body – is an experience that confirms that regardless of how technologically advanced the machine based civilization becomes it will still pale in comparison to human senses, which is inherently irreplaceable. A painting is what an artist creates based on what he or she experiences using all the bodily senses. What the artist injects into their work is not mere stories of the world or reproduction of things, but is rather the visual expression of the depth of human nature – invisible to the eye – that forms the basis of existence. Thus, this is the responsibility of an artist who creates paintings.

    In this solo exhibition titled Approcher, under these contexts, we must perhaps read less into Park's subject of the "island" but focus more on the emotions associated with the space where the island is situated. Obviously, the island is an entity far from trivial, and cannot be replaced with any old island. It is a place that provides a powerful experience, intense enough to momentarily lose sense of reality. We are able to witness this in such works like Teolmi Island (2016) and Mok Island (2015) which are expressive paintings of the artist's impressions of the sun's halo phenomenon, storms and sunsets for example, which were created from Daebu Island encompassing the energy of the space at the time.

    The artist does not necessarily set out to single out his subject matters as such, but instead creates works on locations of opportunity where he happens to witness an event, by always keeping his bodily senses awake. Park's work involves initially expressing his bodily experience of the time and place on to a canvas, then transporting the event to a new alternate space so that the audience may experience as close to the artist's first impression as possible. In order to visually create the unforgettable feeling of what he experienced with all of his senses, Park introduces supplementary mechanisms into his work such as repeating the cycle of drawing and erasing, using strong lighting, or differentiating the light settings of the wall and floor.

    Needless to say what the artist experienced at ground zero at the time of being inspired will never be what the audience takes away from the exhibition space. Even those witnessing the same event will have different translations of the senses. Though aiming for the nearest equivalent as possible, Park probably goes into his work with eyes open, knowing better than anyone of such "differences." Actually, the artist is honing in more on the intersecting point of the event that begins with the entrance of the audience into this alternate space, and that of each individual's experience towards the given time and space. By embracing both the viewing audience and the space where the work is presented, the painting – normally a two-dimensional plane – is evolving into another dimension.

    So before we go on to discuss the new role or methodology of painting of our times, we must consider how devoted Park is in experiencing and transferring an entity, a subject, using his entire body, and the fact that how reaching in to the depths, he dives into the subject to get a glimpse of that unexplainable essence, often referred to as an aura. And as aforementioned, this is precisely the responsibility of a painter: to look towards a subject with the purest of attitudes, without intention, objective, or obligation, thereby getting a step closer to the root of existence. Through his manner is most devoted to the basics, artist Park, Han-Saem is presenting the solution for the long survival of painting for the times to come. ■ Lee, Ji-Na

    전시제목박한샘 - 近似點 Approcher

    전시기간2016.07.22(금) - 2016.08.24(수)

    참여작가 박한샘

    초대일시2016년 7월 22일 금요일 06:00pm

    관람시간09:00am - 06:00pm

    휴관일일요일

    장르회화

    장소송은 아트큐브 SongEun Art Cube (서울 강남구 대치동 947-7 삼탄 B/D 로비)

    연락처02-3448-0100

  • Artists in This Show

송은 아트큐브(SongEun Art Cube) Shows on Mu:umView All

  • 작품 썸네일

    강민숙 : Soothing Songs from an Alien

    송은 아트큐브

    2021.05.13 ~ 2021.06.16

  • 작품 썸네일

    정영호 개인전: Out of Photography

    송은 아트큐브

    2021.02.15 ~ 2021.03.22

  • 작품 썸네일

    오연진 개인전: The Very Eye of Night

    송은 아트큐브

    2020.12.29 ~ 2021.02.03

  • 작품 썸네일

    허우중: 잔상의 깊이

    송은 아트큐브

    2020.11.19 ~ 2020.12.21

Current Shows

  • 작품 썸네일

    권현빈: We Go

    두산갤러리

    2024.03.20 ~ 2024.04.20

  • 작품 썸네일

    함(咸): Sentient Beings

    갤러리 학고재

    2024.03.13 ~ 2024.04.20

  • 작품 썸네일

    최인선: 거울 너머로_거울 속으로

    이길이구 갤러리

    2024.03.23 ~ 2024.04.20

  • 작품 썸네일

    이길래: 늘 푸른 생명의 원천에 뿌리를 내리다 - 생명의 그물망

    사비나미술관

    2024.01.25 ~ 2024.04.21

  • 작품 썸네일

    2024 기억공작소Ⅰ 김용익展 후천개벽: 아나와 칼(Ana & Carl)

    봉산문화회관

    2024.02.14 ~ 2024.04.21

  • 작품 썸네일

    김연옥 기획초대전: 비밀의 정원(The Secret Garden)

    쉐마미술관

    2024.03.15 ~ 2024.04.21

  • 작품 썸네일

    김용익: 아련하고 희미한 유토피아

    국제갤러리

    2024.03.15 ~ 2024.04.21

  • 작품 썸네일

    장현주: 어둠이 꽃이 되는 시간

    갤러리 담

    2024.04.12 ~ 2024.0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