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K 김도균展
2010.09.02 ▶ 2010.10.03
2010.09.02 ▶ 2010.10.03
김도균
lu.wh-01 pigment print, mounted on plexiglas, 72x60cm, 2010
김도균
lu.ssd-01 pigment print, mounted on plexiglas, 70x90cm, 2010
김도균
lu.ssd-02 pigment print, mounted on plexiglas, 70x90cm, 2010
김도균
lu.ssd-10 pigment print, mounted on plexiglas, 70x90cm, 2010
김도균
lu.ssdall-01 pigment print, mounted on plexiglas, 150x220cm, 2010
김도균
lu.vi-02 pigment print, mounted on plexiglas, 72x60cm, 2010
건축물을 둘러싼 공간과 그것의 외관, 그리고 실내까지 자신이 경험하는 모든 공간을 가공하여 SF적 장면으로 완성시키는 작가 김도균의 신작
작가는 신작
작가의 이전 작업들이 실제의 공간에서 작가의 감각이 머무는 장면 하나 하나를 있는 그대로를 살려 가공하는 정적인 방식이었다면, 이번
lu.ssd는 이미 짜여진 형태들에서 이전 작업과 마찬가지로 ‘발견’과 ‘선택’에 초점을 두었다. 동일한 형태의 박스가 쌓여져 있을 뿐이지만, 바라보는 방향, 색채의 조합, 박스의 개수, 쌓인 방식에 따라 이들 풍경은 외로운 광경을 자아내기도, 꽉 찬 도시 풍경을 연상시키기도 한다. 한편으로는 레고블럭들이 각기 다른 모습으로 쌓인 ‘소인국’ 같기도 하다.
이러한 공간의 자의적 활용은 lu.bl-01에서 더욱 적극적으로 표현된다. 아이폰의 Line Up 게임에서 착안해 검은 배경 안에 하나의 단위로 환원된 컨테이너박스들을 자유로이 구성시키는데, 작가가 클릭을 멈춘 그 순간에 새로운 공간이 형성된다. 이 작품들 중 어떤 것은 화면이 거의 비어 있고, 어떤 작품은 숨이 막힐 정도로 꽉 차 있다. 이를 바라보며 도시의 마천루를 떠올리든, 콘크리트 아파트들을 상상하든, 블록이 화면을 가득 채워 게임 오버되는 그 장면과 느낌을 상기하든 그것은 관람자의 몫이다.
일종의 색띠의 조합으로 보이는 lu.ssdall-01은 환원된 단위들의 무한 반복과 집적의 한 단면이다. 작가가 copy, paste 행위를 반복하며 가장 마음에 드는 지점을 찾았을 때, 작업은 비로소 완성된다.
김도균은 이전
전시제목KDK 김도균展
전시기간2010.09.02(목) - 2010.10.03(일)
참여작가 김도균
초대일시2010-09-02 19pm
관람시간10:00am~19:00pm
휴관일월요일
장르사진
관람료무료
장소갤러리 2 Gallery 2 (서울 강남구 청담동 118-17 네이처포엠 #315)
연락처02-3448-2112
1973년 출생
19기 입주작가 릴레이: 전기수 무음모드
청주미술창작스튜디오
2025.10.16 ~ 2025.10.29
19기 입주작가 릴레이: 이주영 링반데룽
청주미술창작스튜디오
2025.10.16 ~ 2025.10.29
사유하는 내면의 초상 - 박진화 개인전
잇다스페이스 작은미술관
2025.10.14 ~ 2025.10.30
인간(적) 자연
신한갤러리
2025.09.16 ~ 2025.10.31
류신정 Ryu, Shinjung : 유유 항성 Flow star
티 하우스
2025.10.01 ~ 2025.10.31
이근민: 깨어나는 경계들 Awakening Boundaries
박서보재단 26SQM
2025.09.01 ~ 2025.10.31
김종영의 조각과 글 part 5 《이런 작품을 만들고 싶다》
김종영미술관
2025.06.20 ~ 2025.11.02
2025 타이틀 매치 《장영혜중공업 vs. 홍진훤: 중간 지대는 없다》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
2025.08.14 ~ 2025.1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