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응노
대죽_ 1932, 종이에 수묵, 161.5×68cm, 이응노미술관 소장
이응노
공주산성_ 1940, 종이에 수묵담채, 35×49.7cm, 이응노미술관 소장
이응노
3.1운동_ 1946, 종이에 수묵담채, 50×61cm, 청관재 소장
이응노
양색시_ 1946, 종이에 수묵담채, 50.3×66.5cm, 청관재 소장
이응노
6.25_ 1950, 종이에 수묵담채, 58.3×73.2cm, 이응노미술관 소장
이응노
영차영차_ 1954, 종이에 수묵담채, 24×33.5cm, 청관재 소장
이응노
취야_ 1950년대, 종이에 수묵담채, 40.3×55.3, 이응노미술관 소장
이응노
정원_ 1956, 종이에 수묵담채, 132×68cm, 청관재 소장
이응노
구성_ 1964, 125×65cm, 청관재 소장
이응노
무제_ 1969, 지름 14cm, 청관재 소장
이응노
구성_ 1975, 모직에 채색, 135×114cm, 청관재 소장
이응노
통일무(군상)_ 1979, 종이에 수묵담채, 16×32cm, 청관재 소장
이응노
군상_ 1984, 종이에 수묵담채, 40×21cm, 청관재 소장
이응노
인간군상_ 연도미상, 테라코타, 18×22cm, 청관재 소장
이응노
군상_ 1986, 종이에 수묵담채, 34×49cm, 이응노미술관 소장
이응노
군상_ 1986, 종이에 수묵, 133×70cm, 청관재 소장
이응노
대나무_ 1976, 한지에 수묵, 133×69cm
이응노
옥중조각(밥풀조각)(앞)_ 1968, 밥풀, 종이, 25 x 21 x 26(h)cm © Lee UngNo / ADAGP, Paris – SACK, Seoul, 2024
이응노
수묵의 세계_ ⓒ TMONET - Théâtres des Lumières / Lee Ungno Museum 2024 ⓒ Lee Ungno / ADAGP, Paris - SACK, Seoul, 2024
이응노
인간군상_ 1993, 한지에 수묵담채, 77×29cm, 가나아트 이호재 기증, 2001년
이응노
취야-외상은 안뎀이댜_ 1950년대, 종이에 수묵채색, 42 x 55cm © Lee UngNo / ADAGP, Paris – SACK, Seoul, 2024
이응노
옥중조각(밥풀조각)_ 1968 밥풀, 종이 25 x 21 x 26(h)cm © Lee UngNo / ADAGP, Paris – SACK, Seoul, 2024
이응노
파리에서 : 추상의 시작_ ⓒ TMONET - Théâtres des Lumières / Lee Ungno Museum 2024 ⓒ Lee Ungno / ADAGP, Paris - SACK, Seoul, 2024
이응노
구성_ 1964, 종이에 수묵, 90×56cm, 일본 개인소장
이응노
구성 Composition_ 1974 종이에 채색 35 x 49cm © Lee UngNo / ADAGP, Paris – SACK, Seoul, 2024
이응노
구성의 실험_ ⓒ TMONET - Théâtres des Lumières / Lee Ungno Museum 2024 ⓒ Lee Ungno / ADAGP, Paris - SACK, Seoul, 2024
이응노
구성 Composition_ 1960, 캔버스에 종이 콜라주, 채색, 133x80cm, 1965 제8회 상파울루 비엔날레 브로셔 수록작
이응노
풍경-대전교도소에서_ 1968, 종이에 수묵채색, 26.5 x 30.5cm © Lee UngNo / ADAGP, Paris – SACK, Seoul, 2024
이응노
춤 Dance_ 1978 종이에 수묵, 채색 126.5 x 63cm © Lee UngNo / ADAGP, Paris – SACK, Seoul, 2024
이응노
인간_ 1986, 종이에 수묵, 140×69cm, 광주시립미술관 ⓒ Lee Ungno ADAGP, Paris–SACK, Seoul, 2024
이응노
이상하고 낯선 나라로의 이야기_ ⓒ TMONET - Théâtres des Lumières / Lee Ungno Museum 2024 ⓒ Lee Ungno / ADAGP, Paris - SACK, Seoul, 2024
이응노
구성_ 1972 32x24cm, 은박지에 채색, 새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