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가의 말
2019.12.07 ▶ 2019.12.29
2019.12.07 ▶ 2019.12.29
전시 포스터
이재헌
꽃밭 Garden oil on canvas_150 x 190cm_2013-9
이재헌
자화상 Self-portrait oil on canvas_41 x 32cm_2019
장파
Studies for the Baubo series Charcoal on paper_76 x 56cm_2019
장파
Post-it Charcoal and Acrylic on paper_220 x 314cm_2019
장파
Studies for the Baubo series Charcoal and Acrylic on paper_ 76 x 56cm_2019
장파
Studies for the Baubo series Charcoal on paper_76 x 56cm_2019
장파
Studies for the Baubo series Charcoal and Acrylic on paper_ 76 x 56cm_2019
이재헌
앉아 있는 여자 Woman sitting oil on canvas_100 x 73cm_2018
이재헌x장파
화가의 눈 출판물 가변설치_2019
이재헌
뷰어013 Viewer013 oil on canvas_190 x 150_2019
이재헌
남겨진 얼굴 Remnant oil on canvas_45.5 x 38cm_2019
장파
화가의 눈_출판물 가변설치_2019
<화가의 말>은 이재헌과 장파가 ‘그림’과 ‘화가’를 주제로 나눈 필담에서 시작한다. 이 대화는 그리기의 실제적인 과정, 화가라는 자의식 그리고 이미지와 회화의 계보에 대한 서로의 생각과 경험을 각자 작업에 비추어 화가의 언어로 풀어보려는 시도와 같다. 그들은 회화의 내용과 형식에 대한 고민을 들여다보고, 우리가 현대미술 속에서 ‘회화’를 어떻게 경험하고 있는가를 탐구하고 있으며, 두 화가의 이야기는 동시대 회화의 양상에 대한 분석과 회화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방향으로 확장된다.
회화의 가능성을 화가의 몰입과 실존적 붓질에서 찾는 이재헌과 여성의 억압된 감각을 회화적 감각으로 풀어내는 동시에 회화에 대한 젠더 편향적 비평 언어에 관심을 두는 장파의 대화는 결국 ‘회화는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답하는 여정이기도 했다. 왜냐하면, 회화라는 매체가 이미 낡은 것으로 여겨졌던 시절을 지나왔음에도 여전히 ‘회화의 가능성’에 대해 논의하며, 매체에 대한 자의식과 본질을 계속 캐묻는 것을 통해 회화 자체가 낡은 것이 아니라 회화를 다루는 틀이 낡은 것은 아닌지 질문하기 때문이다.
그림을 그리는 과정에서 화가가 마주하는 실제적 고민은 그림 안에 숨겨져 있다. 가령 색채의 조합이 어떠한 과정을 통해 선택되고 결정되는지, 붓질은 화가의 몸과 감각을 어떻게 반영하는지, 화가가 회화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지점이 무엇인지 알기 어렵다. 작품으로 ‘말’하고자 하는 화가의 숙명이거나 미처 듣지 못한 질문이기에 답으로 말할 수 없었던 것이 이유일 것이다. 이번 전시 <화가의 말>에서 이재헌과 장파는 비평과 담론이 비껴간 화가의 고민과 ‘그리기’라는 구체적 과정에 대해 더욱 정교하게 접근하여, 매체로서의 회화와 각자의 작업을 다양한 층위에서 바라보고 있다. 현대미술에서 회화의 역사가 가진 무게를 감당하며, 쉽게 언어화되지 않는 이미지 고유의 영역으로 진입하기 위해 붓이 아닌 언어를 도구 삼아 그 세계를 조형해보는 미완의 시도라 말할 수 있다.
■ 장파
전시제목화가의 말
전시기간2019.12.07(토) - 2019.12.29(일)
참여작가 이재헌, 장파, 이재헌x장파
초대일시2019년 12월 07일 토요일 06:00pm
관람시간12:00pm - 07:00pm
휴관일월요일, 화요일
장르회화
관람료무료
장소플레이스막 placeMAK (서울 서대문구 홍제천로4길 39-26 (연희동) )
연락처010-9838-5768
1976년 출생
1981년 서울출생
박정일: Inner Fantasy
골목예술창고
2025.04.20 ~ 2025.05.03
신미경: 투명하고 향기 나는 천사의 날개 빛깔처럼 Celestial Whisper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
2024.06.04 ~ 2025.05.05
한국 현대 도자공예: 영원의 지금에서 늘 새로운
국립현대미술관
2024.11.21 ~ 2025.05.06
한국 현대 구상미술의 단면: 사실과 재구성
양평군립미술관
2025.03.07 ~ 2025.05.06
박수근미술관창작스튜디오 제19기 결과보고 개인전
박수근미술관
2025.02.28 ~ 2025.05.06
장 밥티스트 베르나데《Belvedere》
가나아트 한남
2025.04.03 ~ 2025.05.08
민화, 오늘의 이야기
김세중미술관
2025.03.18 ~ 2025.05.10
이강욱: 소년이었던 너에게 "To the Boy You Once Were"
갤러리 담
2025.04.29 ~ 2025.0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