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춘일
제목미상_ 한지에 수묵채색_102.5×239cm_1980년대 중반 추정
이억배
자화상_ 캔버스에 유채_70×60.5cm_1979
박찬응
담벼락_ 천에 칼드로잉_53×38cm_1984
권용택
오대천의 수달 1_ 캔버스에 아크릴채색_162×130cm_2011
이주영
안된다_ 캔버스에 유채_90×116cm_1989
이오연
광주 이야기_ 패널에 아크릴채색_59×71.5cm_1990년 추정
손문상
무제, 『프레시안』, 2014.04.19._ 디지털 드로잉_가변크기_2014
신경숙
파업장에 아이들 번지점프를 하다_ 유채_116×140cm_2021(1993)
황호경
제목미상_ 목탄지에 콘테, 크레파스_52×61cm_1990
임종길
자화상_ 골판지에 혼합재료_137×71cm_1993
이윤엽
대추리에서 세월호까지_ 한지에 목판_가변설치_2014
신학철
한국근대사-누가 하늘을 보았다 하는가_ 캔버스에 유채_ 200×130cm_1989_국립현대미술관 소장
민정기
역사의 초상_ 종이에 석판화_57×70cm_1986_국립현대미술관 소장
임옥상
6.25후의 김씨일가_ 종이부조에 수묵채색_ 131×198cm_1990_국립현대미술관 소장
윤석남
봄은 오는가_ 종이에 연필_205×500cm_1985
김봉준
초혼도_ 광목에 목판_62×152cm_1985_국립현대미술관 소장
이응노
대나무_ 1976, 한지에 수묵, 133×69cm
이응노
가면_ 1978, 한지에 수묵담채, 20x20cm
이응노
대죽_ 1932, 종이에 수묵, 161.5×68cm, 이응노미술관 소장
이응노
구성_ 1979, 한지에 수묵담채, 180x154cm
이응노
무제_ 1981, 140x70cm, 한지에 수묵담채
이응노
구성_ 1974, 릴리프, 49x32cm
이응노
공주산성_ 1940, 종이에 수묵담채, 35×49.7cm, 이응노미술관 소장
이응노
오리_ 1979, 목판화, 32x30cm
이응노
금강산_ 1980년, 나무, 28.6x22.5x16.3cm, 이응노미술관 소장
이응노
동방견문록 시리즈_ 1980년, 한지에 수묵담채 34x34cm
이응노
구성_ 1960년대 초반, 65×77cm, 종이 콜라주, 이응노미술관 소장
이응노
3.1운동_ 1946, 종이에 수묵담채, 50×61cm, 청관재 소장
이응노
동방견문록 시리즈_ 1980년, 한지에 수묵담채, 17x17cm
이응노
구성_ 1961, 116×89cm, 종이 콜라주, 이응노미술관 소장
이응노
구성_ 1962, 133x70cm, 캔버스에 유채
이응노
동방견문록 시리즈_ 1980년, 한지에 수묵담채, 28x39c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