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성을 회고하다

2019.09.27 ▶ 2020.03.29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종로구 삼청로 30 (소격동)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디지털정보실 3층 디지털아카이브

Homepage Map

페이스북 트위터 링크 아이콘
  • 전시 포스터

  • 작품 썸네일

    이경성

    이경성(李慶成, 1919-2009) 임응식 촬영

  • 작품 썸네일

    이경성

    국립현대미술관건립안(1982년)

  • 작품 썸네일

    이경성

    다다익선 기공식에서 이경성과 백남준 1986,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 작품 썸네일

    이경성

    관장실에서 《요셉보이스》전 관련 협의 중인 이경성 1991,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 작품 썸네일

    이경성

    군상 2009, 한지에 수묵, 46×230㎝, 이경성 유족 소장

  • Press Release

    국립현대미술관(MMCA, 관장 윤범모)은 개관 50주년을 맞이하여 《이경성을 회고하다》전을 9월 27일부터 2020년 3월 29일까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디지털아카이브에서 개최한다.

    이경성은 국립현대미술관 최초의 미술전문가 관장으로서 제9대(1981.8.-1983.10.)와 제11대(1986.7.-1992.5.) 8년간 재임하며,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건립(1986년)을 주도적으로 이끌었다. 그는 미술관 초기 소장품 관리 제도 형성, 학예연구사 제도 도입 등 초창기 국립현대미술관의 제도적 기틀 마련과 정착에 큰 역할을 하였다.

    이경성은 1919년 인천에서 태어나 1937년 일본 와세다대학 법률과에 입학했으나, 당시 만난 미술학도 이남수, 미술사학자 고유섭과의 교류를 통해 미술사로 방향을 전환했다. 1951년 국내 최초의 미술비평문이라 할 수 있는 ‘우울한 오후의 생리-전시미술전(戰時美術展)을 보고’를 발표한 이후 미술 비평가로서의 활동을 본격적으로 시작하였으며, 미술행정가, 교육자, 이론가로 활동하며 국내 미술계를 이끌었다.

    이번 전시는 이경성이 국립현대미술관장으로 재임한 시절의 자료를 중심으로 국립현대미술관, 더 나아가 한국 미술관제도의 형성과 전개과정을 가늠해보는 아카이브 전시이다. 이경성 친필원고부터 재임 시절 관장실에서 사용한 가구, 애장품 등 200여 점이 출품된다. 또한 직접 그린 스케치북, 회화 등 생전에 남긴 작품 16점도 전시되어 미술인으로서 이경성의 다양한 면모를 살펴볼 수 있다.

    전시와 연계한 총 4회의 릴레이 토크도 마련된다. 이경성과 가깝게 지낸 미술인들로부터 이경성의 주요 업적과 일화를 듣는 자리이다. 첫 회는 개막일인 9월 27일 오광수(전 국립현대미술관장, 현 뮤지엄 산 관장), 정양모(전 국립중앙박물관장), 최재은(작가) 3인이 ‘인간 이경성을 이야기하다’라는 주제로 대담을 진행한다.

    윤범모 국립현대미술관장은 “이경성 탄생 100주년을 기념한 이번 회고전은 한국 근ㆍ현대미술사의 초석을 다지고 다수의 저서 발간 및 이론적 체계를 확립한 이경성의 행로를 조명함으로써 한국 미술관학 및 미술사 연구의 기반을 다지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자세한 정보는 국립현대미술관 홈페이지(mmca.go.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전시연계 프로그램
    o 릴레이토크
    - 1차시 개막토크: 인간 이경성을 이야기하다
    · 일시: 2019. 9. 27.(금) 15:30~17:00
    · 장소: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디지털정보실 2층 라운지DAL
    · 강연자: 오광수(뮤지엄 산 관장), 정양모(전 국립중앙박물관장), 최재은(작가)

    - 2차시: 미술관ㆍ박물관 관장으로서의 이경성
    · 일시: 2019. 10. 17.(목) 14:00~16:00
    · 장소: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디지털정보실 2층 라운지DAL
    · 강연자: 김달진(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장), 이인범(상명대 교수), 홍선표(한국전통문화대 대학원 석좌교수)

    - 3차시: 미술이론가로서의 이경성
    · 일시: 2019. 11. 6.(수) 14:00~16:00
    · 장소: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디지털정보실 2층 라운지DAL
    · 강연자: 김영순(전 부산시립미술관장), 김현숙(KISO 미술연구소장), 최열(미술평론가)

    - 4차시: 미술교육자로서의 이경성
    · 일시: 2019. 12. 5.(목) 14:00~16:00
    · 장소: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디지털정보실 2층 라운지DAL
    · 강연자: 양주혜(작가), 임정희(미학.미술평론가), 조은정(고려대 초빙교수)

    o 대상/인원(공통): 전문인 및 일반인 / 50여 명
    o 신청방법(공통): 국립현대미술관 홈페이지(www.mmca.go.kr)의 ‘프로그램’→‘이벤트’ 메뉴를 통해 안내할 예정입니다. (선착순 신청)




    이경성 전 국립현대미술관장 주요 약력
    이경성(李慶成, 1919-2009)


    1919 인천시 화평동에서 출생
    1937 일본 도쿄 와세다대학 전문부 법률과 입학
    1941 와세다대학 졸업
    1943 일본 도쿄 와세다대학 문학부 미술사 전공 입학
    1945~1954 인천시립박물관장
    1956 한국미술평론가협회 창립회원
    1957~1960 이화여대 교수
    1961~1981 홍익대 미대 교수
    1967 한국미술평론가협회장
    1972 대한민국 국민훈장 목련장 수장
    1973 국립현대미술관 자문위원
    1981~1983 제9대 국립현대미술관장
    1983~1986 워커힐미술관장
    1984 보관문화훈장 수장
    1986~1992 제11대 국립현대미술관장
    1988 일본정부 훈3등 욱일중추장 수장
    1989 석남미술문화재단 설립
    1992 프랑스 문화예술공로훈장 기사장 수장
    1992~1995 일본 소게츠미술관 명예관장
    1994 대한민국세종문화상
    1999~2001 서울올림픽미술관장
    2003 대한민국문화예술상
    2009 미국 뉴저지에서 영면

    전시제목이경성을 회고하다

    전시기간2019.09.27(금) - 2020.03.29(일)

    참여작가 이경성

    관람시간화, 수, 목, 금, 일요일 10:00 ~ 17:00
    토요일: 10:00 ~ 21:00 (17:00 ~ 21:00 기획전시 무료관람)
    ※ 매월 마지막 주 수요일 ‘문화가 있는 날’은 밤 9시까지 관람하실수 있습니다
    ※ 발권은 관람 종료 1시간 전까지만 가능합니다

    휴관일1월1일, 설날, 추석

    장르이경성 관련 주요 자료(서신, 기안문, 사진, 훈장, 도서, 드로잉북, 가구 등) 및 작품

    관람료무료

    장소국립현대미술관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서울 종로구 삼청로 30 (소격동)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디지털정보실 3층 디지털아카이브)

    주최국립현대미술관

    연락처02-3701-9500

  • Artists in This Show

국립현대미술관(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Shows on Mu:umView All

  • 작품 썸네일

    젊은 모색 2025: 지금, 여기

    국립현대미술관

    2025.04.24 ~ 2025.10.12

  • 작품 썸네일

    국립현대미술관 소장품 기획전 《수채: 물을 그리다》

    국립현대미술관

    2025.03.21 ~ 2025.09.07

  • 작품 썸네일

    기울인 몸들: 서로의 취약함이 만날 때 Looking After Each Other

    국립현대미술관

    2025.05.16 ~ 2025.07.20

  • 작품 썸네일

    론 뮤익 Ron Mueck

    국립현대미술관

    2025.04.11 ~ 2025.07.13

Current Shows

  • 작품 썸네일

    피에르 위그: 리미널(Liminal)

    리움미술관

    2025.02.27 ~ 2025.07.06

  • 작품 썸네일

    석난희: 그림 속의 자연 畫中自然 Suk Ran Hi : Nature in Paintings (畫中自然)

    성곡미술관

    2025.04.10 ~ 2025.07.06

  • 작품 썸네일

    젊은 시각 새로운 시선 2025 Vision and Perspective 2025

    성곡미술관

    2025.04.10 ~ 2025.07.06

  • 작품 썸네일

    근대미술가의 재발견 2 《초현실주의와 한국근대미술》

    국립현대미술관

    2025.04.17 ~ 2025.07.06

  • 작품 썸네일

    말하는 머리들 Talking Heads

    서울시립미술관

    2025.05.01 ~ 2025.07.06

  • 작품 썸네일

    55주년: 한국 현대미술의 서사 Part II

    갤러리현대

    2025.05.22 ~ 2025.07.06

  • 작품 썸네일

    나의 털복숭이 친구들: 멍이와 냥이

    광주 신세계갤러리

    2025.05.30 ~ 2025.07.08

  • 작품 썸네일

    서승원: The Interplay

    PKM 갤러리

    2025.06.05 ~ 2025.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