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신욱: 경계인 The Marginal Man

2021.11.05 ▶ 2021.11.28

플레이스막

서울 마포구 성미산로 198 (연남동) 동진시장 내 플레이스막 1

Homepage Map

페이스북 트위터 링크 아이콘
  • 작품 썸네일

    김신욱

    A letter from mother in North Korea 38x50cm_Inkjet print_2020

  • 작품 썸네일

    김신욱

    Albert Road 38x50cm_Inkjet print_2020

  • 작품 썸네일

    김신욱

    Mr Choi at work 38x50cm_Inkjet print_2020

  • 작품 썸네일

    김신욱

    In front of New Malden station 38x50cm_Inkjet print_2017

  • 작품 썸네일

    김신욱

    New Malden railway 38x50cm_Inkjet print_2017

  • 작품 썸네일

    김신욱

    Sussex Place 38x50cm_Inkjet print_2017

  • Press Release

    HoME: History of Middleman on Earth

    무엇과 무엇의 ‘사이 공간’, 그곳은 무수한 연결을 도모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역사가 바라보는 경계는 실로 주류와 비주류를 선회하는 치열하고 외로운 흔적으로 귀결되어왔다. 이 소외 차원의 심리 장소는 딱히 규정할 수 없는 범주에서 일순간 ‘영웅’과 ‘낙오자’를 생성한다. 이 필연적인 양가성은 비단 국적과 소속을 너머 일상속에서, 인간의 심리적 차원에서 나아가 사회 기저의 무심한 그림자로부터 지속적으로 발생해왔다. 또한 동시대가 투사하는 난민, 망명자, 무국적자 등의 프레임은 그 이면에 복합감정의 양상을 배제한 채 사회현상의 목적에 따라 소모되어왔다. 그렇다면 그 사이 공간에 존재하는 본질적인 ‘사이 인물’은 과연 누구이며, 그들의 터전은 어디인가?

    김신욱의 개인전 ‹The Marginal Man(경계인)›은 작가가 오랫동안 거주했던 영국에서 만난 탈북자 최씨에 대한 이야기로 출발했다. 이방인으로서 최씨의 삶을 인터뷰, 대화, 그의 편지 글, 사진 등을 통해 오롯이 추적하고 기록했다. 런던 시내로부터 약 1시간 정도 떨어진 뉴몰든에 위치한 한인마트 물류센터에서 근무하는 최씨는 여느 탈북자보다 만만치 않은 굴곡의 삶을 살았다. 자유를 위해 목숨을 걸고 모국을 떠났지만, 여전히 사회의 마이너리티로서 존재했다. 그의 삶의 궤적은 끊임없는 배타와 배제를 답습해온 바 이는 단지 한 이방인의 한스러운 신파 드라마로 귀결되기보다 궁극적인 고향 상실이 초래하는 실향민의 정서를 환기한다. 나아가 언어와 인종의 한계까지 겹쳐 사회의 열등집단으로 초래되는 한 탈북인의 삶의 서사를 통해 여느 공동체에 속하지 못한 인물의 고립이 초래하는 깊숙한 문제들을 살펴보고자 했다.

    전시 ‹The Marginal Man(경계인)›은 사회에서 잃어버린, 곧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 존재를 창작적으로 주목하고자 했다. 나아가 동시대에서 상실된 연민에 대한 정서를 호출하여 소외의 본질을 살펴보고자 했다. 사진을 주요 매체로 다루는 김신욱은 이전부터 주변부를 통해 비가시적인 것들을 탐색해왔다. 특히 사진을 통한 일련의 대상화를 방향으로 시지각적으로 모호한 것들을 탐구해 왔으며, 다년간 경계에 대한 주제를 심화해왔다. 이번 그의 경계인 작업은 지난 경계에 따른 장소와 지역을 중점적으로 다룬 ‹경계지›시리즈에 이어 지역이라는 맥락이 다층적으로 확장되고, 섬세해지며, 보다 미시적인 접근을 지닌다. 이는 김신욱의 오랜 타지 생활 속에서 겪은 이방인으로서 경험과 기억에 대한 성찰을 바탕으로 출발했다. ‹경계인›은 종래에 사회적 현상에 따른 심리적 정체성에 대해 질의한다. 구체적으로는 일련의 지역을 통해 경계와 단위로 작동하는 월경과 이주에 따른 주체들을 발견하고 그 주체들, 곧 경계인이 향하는 궁극적인 장소의 가치에 새로운 비전이 있음을 최씨의 기록을 통해 시지각적 내러티브로 치환하고자 했다. 궁극적으로 김신욱이 말하는 경계는 정의되는 것이 아니라 모색되고 있는 것이다. 명료하지 않지만 그 언저리에서 기록되지 않는 역사를 파생하고, 그 잊혀진 존재들의 삶을 증거한다. 마치 실제의 지도에 표기된 장소를 현실에서 마주할 때 발생하는 모종의 유격, 바로 그것이 ‘모색되고 있는 경계의 직관성’을 시사한다. 때문에 경계라는 아우라가 잉태한 소외라는 ‘사이’에서 여전히 부유하는 그 ‘사이 인물’은 보다 적극적으로 감각해야 한다. 동시에 그것이 소환하는 우리 내부에 잠재 한 또 다른 차원의 경계의 정의를 이번 김신욱 개인전 ‹경계인›을 통해 관객들과 발견해보고자 한다.

    ■ 전민경, 독립 기획자/더 그레잇 커미션 대표




    HoME: History of Middleman on Earth

    Across the ‘marginal space’ set between one thing and another, infinite connections may be possible. However, the border as viewed by history has ended up as the fierce and lonely remnants encircling the mainstream and non-mainstream. The psychological space of this alienated dimension, under a category not precisely definable, births ‘heroes’ and ‘losers’ in an instant. This inevitable duality has shown itself continuously—superseding nationality and affiliation, going beyond daily life and the human psychological dimension, and out of societal foundations’ indifferent shadows. The frame in which contemporary society projects refugees, defectors, undocumented migrants, and so on—with the aspect of complex emotion having been denied—has been consumed according to the goals of social phenomena. In that case, who exactly is the essential ‘marginal person’ existing within this marginal space, and where is their home? Shinwook Kim’s solo exhibition, The Marginal Man, begins from the story of Mr. Choi, a North Korean defector whom he met whilst living in the UK. Through interviews and conversations, as well as his letters and writing, photographs, and so on, Shinwook Kim followed and recorded in detail Mr. Choi’s life as a ‘stranger’. Mr. Choi, who works in the New Malden H-Mart distribution hub, around one hour from London city centre, has lived through considerable ups and downs, even more so than other defectors. He left his country, risking his life for the sake of freedom, but still exists as a minority within society. The traces of his life have followed an endless stream of exclusion and marginalization. Rather than concluding the story like the outcast in a bitter melodrama, attention is drawn to the emotions of the displaced individual incurred by the ultimate loss of hometown. Breaking through the barriers of language and race, the artist tries to shed light on the deep problems of isolation brought about by belonging to an ‘inferior’ group.

    The Marginal Man aims to focus creatively on those lost within society, on those who have fallen under the radar. It also seeks to summon emotions surrounding the compassion lost within contemporary society and examine the fundamentals of alienization. Shinwook Kim, who has used photography as his language of art, recently began to search for the non-visible within his periphery. Through a series of object-selection using photography, he has investigated the obscure within the visual-perceptual dimension, and for many years has enriched his theme of borders. This work is part of the Borderland series, which focuses on the places and regions defined by borders. Here, the context of region undergoes multi-layered expansion, becomes more intricate, and a more microscopic approach is employed. The project began through a critical viewing of Shinwook Kim’s experiences of living as a stranger in a foreign land. The Marginal Man is originally an inquiry into psychological identity according to societal phenomena. Practically, he finds the agents of border-crossing and migration operating across borders and units within a series of regions, and based on Mr. Choi’s records, he considers a new vision regarding the worth of the place in which these agents, or marginal people, eventually find themselves. In the end, the ‘margin’ Shinwook Kim refers to is not defined but sought. Though unclear, within those outskirts he derives an unrecorded history, and evidence lives of the forgotten. Like a surprise attack when coming face-to-face in reality with a place displayed on a map, it hints at the ‘immediacy of borders being sought’. Because of this, we need to perceive more proactively the ‘marginal people’ still existing within the ‘margin’ known as alienation, conceived by the aura of borders. At the same time, it is the definition latent within us which this summons, or the definition of another dimension of borders, which Shinwook Kim intends to discover alongside audiences through The Marginal Man.

    ■ Zoe Chun, Independent Curator & Director of The Great Commission

    전시제목김신욱: 경계인 The Marginal Man

    전시기간2021.11.05(금) - 2021.11.28(일)

    참여작가 김신욱

    관람시간12:00pm - 07:00pm

    휴관일월요일

    장르사진

    관람료무료

    장소플레이스막 placeMAK (서울 마포구 성미산로 198 (연남동) 동진시장 내 플레이스막 1)

    기획더 그레잇 커미션

    후원서울특별시, 서울문화재단

    연락처010-9838-5768

  • Artists in This Show

플레이스막(placeMAK) Shows on Mu:umView All

  • 작품 썸네일

    김두진: LIFE

    플레이스막

    2023.10.07 ~ 2023.10.29

  • 작품 썸네일

    박병래: 파랑새.존

    플레이스막

    2023.06.03 ~ 2023.06.29

  • 작품 썸네일

    김현수: 위험한 놀이 HOMOLUDENS

    플레이스막

    2023.03.04 ~ 2023.03.25

  • 작품 썸네일

    손미정: 일_상스러운

    플레이스막

    2023.02.04 ~ 2023.02.25

Current Shows

  • 작품 썸네일

    박미나: 검은

    페리지갤러리

    2024.03.08 ~ 2024.04.27

  • 작품 썸네일

    (no-reply) 회신을 원하지 않음

    아트센터 예술의 시간

    2024.03.16 ~ 2024.04.27

  • 작품 썸네일

    봄 • 봄 ( Spring • See )

    갤러리 나우

    2024.04.16 ~ 2024.04.27

  • 작품 썸네일

    윤정미: 사진으로 읽는 인천 근현대 소설전

    한국근대문학관

    2023.11.24 ~ 2024.04.28

  • 작품 썸네일

    지역 근현대 미술전 : 바다는 잘 있습니다

    창원시립마산문신미술관

    2023.12.12 ~ 2024.04.28

  • 작품 썸네일

    «가장 깊은 것은 피부다», «4도씨»

    세화미술관

    2024.01.30 ~ 2024.04.28

  • 작품 썸네일

    박지수: 빛 나는 그늘 Shining Shade

    갤러리 도올

    2024.04.12 ~ 2024.04.28

  • 작품 썸네일

    김윤신 《Kim Yun Shin》

    국제갤러리

    2024.03.19 ~ 2024.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