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 코뮨>전 TV Commun
2011.09.29 ▶ 2012.02.19
2011.09.29 ▶ 2012.02.19
박현기
TV와 돌 비디오 설치, 1978
박준범
전시와 정권, TV의 역사 비디오 설치, 2009
박준범
전시와 정권, TV의 역사 비디오 설치, 2009
박현기
TV시소 비디오설치, 1984
박현기
TV어항 비디오설치, 1979
박현기
무제 비디오설치, 1993
하태범
아이티 지진 디지털 프린트, 120x180cm, 2010
하태범
연평도 디지털 프린트, 120x180m, 2011
하태범
이태리 아르부초 지진 디지털 프린트, 120x180cm, 2010
정연두
공중 정원 싱글 채널, 분, 2011
○ 전시 개요
백남준아트센터는 2011년 9월 29일 목요일부터 2011년 2월 19일까지 기획전
또한 이 전시에는 프랑스의 비디오 아트 전문 웹채널 ‘Souvenirs from Earth’에 대한 소개와 소속 작품들을 선보입니다. 위성 프로젝트를 감행하던 백남준에게 영감 받아 창립된 ‘Souvenirs from Earth’는 “언젠가 모두가 각자의 TV 채널을 갖게 될 것이다”라고 예견했던 백남준의 말처럼 예술가 고유의 채널을 만들어 송출하는 방송의 새로운 플랫폼을 제시합니다.
○ TV 코뮨: TV로 만들어진 공동체
○ 주요 작품 소개
본 전시에서는 텔레비전 방송국으로서는 드물게 예술가 레지던스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예술가들과 작품을 제작했던 WGBH에서 만들어진 옴니버스 작품인 <비디오 바리에이션 Video Variation>과 <미디엄은 미디엄이다. Medium is Medium>을 소개할 예정입니다. <비디오 변주곡 Video Variation>은 보스톤 심포니 오케스트라와 백남준, 러셀 코너(Russell Connor), 더글라스 데이비스(Douglas Davis), 스탠 반더빅 (Stan VanDerBeek) 등의 작가들의 비디오 작품이 어우러진 일종의 뮤직 비디오입니다. 특히 백남준이 베토벤의 음악에 맞춰 피아노가 불타는 이미지를 합성해 창작한 <일렉트로닉 오페라 No.2 Electronic Opera No. 2>는 그 자체로 비디오 아트의 클래식이라 칭송받고 있으며, 문화사적으로 80년대 초 MTV 보다 10년이나 앞선 실험적인 컨텐츠입니다.
또한 <매체는 매체다 Medium is Medium>은 마셜 맥클루언의 ‘미디어는 메시지다 Media is Message'를 연상시키는 작품으로 백남준, 알랜 카프로(Allan Kaprow), 오토 피네( Otto Piene) 등 6인의 작가가 만든 옴니버스 비디오 작품입니다. 이 두 작품은 이번 전시를 통해 최초로 한국에 소개되며, 미디어를 단순히 배척하거나 열광하는 것이 아닌, 우리 삶의 환경의 하나로 적극적으로 인식했던 백남준의 현재적 의미를 돌아보는 계기를 마련해 줄 것입니다.
이를 위해 이번 전시에는 1970년대 ‘게릴라 TV’의 대표 작가인 TVTV의 <4년 뒤 4 More Years>(1972)와 앤트 팜(Ant Farm)의 <영원한 프레임 The Eternal Frame>(1975)이 소개됩니다. 각기 닉슨 대통령의 재선운동 현장의 인터뷰와 존 F. 케네디 대통령의 암살 현장을 그대로 재현하는 퍼포먼스를 담은 두 작품은 TV 매체가 보도한 현장의 이면을 담아냅니다. TV 이미지와 카메라에 대한 무한한 신뢰에 경종을 울리는 두 작품은 텔레비전 소통방식이 지닌 위험성을 일깨웁니다.
이와 비슷한 맥락으로 텔레비전 방송프로그램이 지닌 시각적 장치와 과장된 진실을 패러디한 정연두의 <공중 정원 Haning Garden>(2009)이 소개됩니다. 이 작품은 흔히 보이는 한국의 ‘역사 스페셜’ 등 사실을 재구성하는 프로그램을 패러디함으로써 ‘보여 지는 것’ 이면에 대해 질문합니다. 이렇게 텔레비전의 컨텐츠에 대한 해체와 재해석은 비디오 아트의 역사에 기록된 다라 번바움(Dara Birnbaum)의 <테크놀로지/변신: 원더 우먼 Technology/Transformation: Wonder Woman>(1978-79)이라는 선구적인 작품에서도 찾아 볼 수 있습니다.
한편 오브제로서의 텔레비전 혹은 환경으로서의 텔레비전을 제시하는 작품들 역시 선보입니다. 한국의 1세대 비디오 아티스트 박현기의 <무제>(1993)는 그 자체로 오브제, 그리고 삶의 요소로서의 텔레비전과 비디오의 모습을 추상적인 비디오 조각으로 풀어내고 있습니다. 또한 네덜란드 작가 가브리엘 레스터(Gabriel Lester)는 <거주지 풍경 Habitat Sequence>(2011)을 통해 2011년 대한민국 가정의 거실에 공통분모를 모아 거실 풍경을 설치합니다. 이 풍경 안에 당연 한 듯 중앙에 놓여진 텔레비전은 삶의 일부이자 필수요소로 존재하는 텔레비전이라는 오브제의 명징한 위치를 볼 수 있습니다. 일종의 2011년에 거주하는 이들의 일상의 풍경에 대한 인류학적 보고서인 작품은 우리의 삶을 이루는 요소가 무엇인지 되돌아보게 합니다. 또한 임흥순 작가는 경기도 지역 여성들과 함께 창작한
마틴 아놀드(Martin Arnold)의
백남준은 자신의 비디오 작품 <글로벌 그루브Global Groove>(1979)에서 이렇게 말합니다. “이것은 지구상의 어떤 TV 채널도 쉽게 돌려 볼 수 있고 TV 가이드북은 맨해튼의 전화번호부만큼 두꺼워질 미래의 비디오 풍경이다". 개인 각자가 자신만의 채널을 보유하고 글로벌 하게 소통할 수 있는 시대. 심지어 쌍방향으로 피드백이 가능한 시대. 복제 매체가 재생산해내는 어마어마한 콘텐츠의 시대. 이러한 미디어 환경은 우리의 삶을 또 어떻게 변화시키고 어디로 데려갈 것인지 혹은 그 환경을 우리가 어떻게 이끌어 갈수 있을지 이 전시를 통해 다시 한 번 사유하는 기회가 되길 바랍니다.
1942년 출생
1969년 출생
1976년 출생
1974년 서울출생
Open Hands
갤러리현대
2024.08.30 ~ 2024.09.15
우고 론디노네: BURN TO SHINE
뮤지엄 산
2024.04.06 ~ 2024.09.18
사물은 어떤 꿈을 꾸는가
국립현대미술관
2024.05.17 ~ 2024.09.18
에드바르 뭉크: 비욘드 더 스크림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
2024.05.22 ~ 2024.09.19
Blue Variations
공근혜갤러리
2024.08.23 ~ 2024.09.21
정아롱: Be Careful What You Wish For
프로젝트 스페이스 사루비아
2024.08.21 ~ 2024.09.21
정영선: 이 땅에 숨 쉬는 모든 것을 위하여
국립현대미술관
2024.04.05 ~ 2024.09.22
MMCA 기증작품전: 1960-1970년대 구상회화
국립현대미술관
2024.05.21 ~ 2024.09.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