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식 28회 개인전_한전아트센터갤러리 공모초대

2011.06.27 ▶ 2011.07.04

한전아트센터 갤러리

서울 서초구 효령로72길 60

Homepage Map

초대일시ㅣ 2011-06-27 18pm

페이스북 트위터 링크 아이콘
  • 작품 썸네일

    최종식

    Dejavu041017 Pencil on Paper, 162x122cm, 2004, Expo Design

  • 작품 썸네일

    최종식

    Déjà vu 081011 conte on canvas, 100x200cm, 2008, 서울시립미술관

  • 작품 썸네일

    최종식

    ChoiJongSik_Dejavu081010 Acrylic & Conte on Canvas, 200x100cm, 2008, 개인소장

  • 작품 썸네일

    최종식

    Déjà vu 091210 acrylic on canvas, 91x73cm, 2009, 개인소장

  • 작품 썸네일

    최종식

    ChoiJongSik_Dejavu070312 Pencol on Paper, 78x54cm, 2007, 해외

  • 작품 썸네일

    최종식

    Dejavu081222 Pencil on Paper, 109x78cm, 2008, 개인소장

  • 작품 썸네일

    최종식

    Déjà vu 110307 Oil & Acrylic on Canvas, 162x130cm, 2011, 개인소장

  • 작품 썸네일

    최종식

    Déjà vu 101231 stapler on board, 120x95cm, 2010, 개인소장

  • 작품 썸네일

    최종식

    Déjà vu 101207 stapler on board, 122x68.5cm, 2010, 개인소장

  • 작품 썸네일

    최종식

    Déjà vu 110501 Oil & Acrylic on Canvas, 162x130cm, 2011, 개인소장

  • 작품 썸네일

    최종식

    Déjà vu 110420 Oil & Acrylic on Canvas, 162x130cm, 2011, 개인소장

  • 작품 썸네일

    최종식

    Déjà vu 110416 Oil & Acrylic on Canvas, 162x130cm, 2011, 개인소장

  • Press Release

    스테레오타입 이미지 (Stereotype Image)
    스테레오타입 이미지는 일상화된 고정관념인 클리쉐(cliché)를 형상화한 도상(圖象)이다. 개인적 취향에 의한 고정관념과는 다르며 대중적으로 공통된 인상적인 관념으로서 클리쉐에 의한 도상을 말한다. 이는 일반 사람들이 오랜 세월 살아오면서 익숙해져 버린 관념으로, 통속적인 드라마, 영화, 동화나 만화 등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요소이다.


    만화 이미지를 벤다이 망점까지 그대로 확대하여 스테레오타입 이미지로 그려낸 리히텐슈타인과 같이, 본인은 수묵화의 번짐을 그대로 그려내어 동양화의 스테레오타입 이미지를 구현하였다.
    그러나 여기에도 미세한 차이점이 있다. 예를 들어 리히텐슈타인의 <붓자국> 연작은 추상표현주의 작품의 무의미한 붓 자국을 그대로 그렸다고 하지만 이는 축약된 붓 자국이지 붓 자국 그 자체를 그대로 그린 것은 아니다. 반면 본인은 화선지에 먹으로 수묵화의 방법으로 먼저 그린다. 그 중 그림이 될 것을 골라내어 먹의 번짐, 갈필과 같은 세부적인 요소를 건조한 재료(연필 등)로 그대로 그린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갖는다.

    물에 의해 자연적으로 종이에 번져 나가는 모습에서 연구자는 패러디의 정의적(affective) 면을 포함할 수 있다고 보고 이를 그대로 그려낸 스테레오타입 이미지를 만들어 내었다. 이는 소묘와 같이 가장 서구적인 방법을 동원하여 사진처럼 그리는 방법으로 먹의 번짐을 그린 것이다.

    Stereotype Image
    A stereotype image is a picture expressing cliché, a daily fixed idea. It is different from stereotype of individual taste and it is a fixed idea by cliché that is a common, impressive idea of the public. It is an idea that people have been accustomed to conventional dramas, movies, fairy tales, and comics.
    Like Lichtenstein who drew stereotype images magnifying comic images to benday dots, I depicted a stereotype image of oriental paintings, using spreading of an oriental Sumi-e(ink and wash) paintings.
    But there is a tiny difference. For example, although Lichtenstein's 'Brush Stroke series' drew meaningless brush mark of abstract expressionism works of art, they are not drawings of brush marks themselves, but reduced brush marks. On the other hand, I draw pictures on a Chinese drawing paper with chinese ink using Sumi-e method from first. After choosing one paper which could be a picture among them, I draw minute elements, such as spreading of chinese ink and dry strokes with dry materials like pencils. Stereotype image was created after observing natural spreading feature by water and the author thought it could include affective aspect of parady.


    트롱프레이유(Trompe-l'œil)
    서구회화의 사실성의 핵심은 눈속임에 있다. 2차원 평면 위에 3차원 세계를 재현한다는 것은 원천적으로 눈속임을 전제한다. 눈의 한계를 이용해 착각하게 하는 것, 곧 착시현상을 불러일으키는 것이다. 트롱프레이유는 눈의 한계를 최대한 이용하고 즐기려는 의도에서 비롯된 것이다.

    트롱프레이유는 르네상스 원근법 등의 재현 기법탐구가 거의 끝난 상황인 매너리즘 시기에서 바로크시기에 걸쳐 정물화와 천장화에 사용된 기법이다. 극단적으로 정밀하게 그려서 사람들이 실재로 물건이 놓여 있는 것처럼 현혹하여 눈을 속이는 그림이다. 작은 그림은 게시판에 붙어있는 메모지나 지폐, 우표 등을 실물 크기로 정밀하게 묘사하거나, 천장이나 벽에 창문 밖의 하늘이나 풍경을 사실적으로 그려 착각을 일으키는 그림기법을 말한다. 사람들은 그림을 보고 실제인 것처럼 착각하였다가 그림인 것을 확인하고 자신이 속았다는 것을 아는 순간 순간적으로 즐거움을 느끼게 된다.

    보드리야르는 트롱프레이유에서 느끼는 형이상학적 즐거움은 미적인 즐거움이 아니라고 한다. 그것은‘낯설음’이라며, 그것을‘아이러니한 모조물 simulacrum’이라 말한다. 형이상학적인 문제이지 미술사나 미술의 문제가 아니라고 말하고 있다. 보드리야르는 눈속임 회화의 즐거움이 초현실주의 회화에서처럼 예전에 경험한 듯한 강렬한 감각, 영원히 잊어진 것, 현실세계의 생산양식 이전에 존재하는 삶에 대한 강렬한 양식에서 비롯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보드리야르가 주목한 것은 그저 사물과 똑 같이 그렸다고 즐거운 것이 아니다. 자신의 눈앞에 놓인 그림이 르네상스식의 원근법의 공간감에 즐거운 것이 아니라, 그 그림이 그 전에 보지 못한 것이었기에 즐거운 것이라는 말이다. 과거의 재현의 시각으로 본 눈속임이 아니라, 사물이 가지고 있는 관념을 뒤집을 수 있는 방법으로서의 눈속임 회화에 주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rompe l'œil
    Camouflage is the kernel of western paintings' reality. Reproducing three-dimensional world on two-dimensional surface is basically trickery in itself. It is an optical illusion, making illusion using limitation of human eye. Trompe l'œil is derived from intension of using limitation of human naked eye to the best and enjoy it. Trompe l'œil is a technique used in still life paintings and murals, during the era of mannerism, search representation skill like Renaissance's perspective was waning, until Baroque era. This is a kind of technique which was depicted in an extremely precise way enough to trick people make believe that real things are present.

    It is a painting technique that depicts notes on a bulletin board, bills or stamps accurately as real sizes, or makes illusion by drawing sky or a landscape on ceiling or wall realistically. People are glad for a moment when they noticed the paintings are not real and they were fooled.


    Jean Baudrillard commented that metaphysical pleasure from Trompe l'œil is not an esthetic pleasure. He said it is "unfamiliarity", and ironical imitation simulacrum. He also said it is not a problem of art but a metaphysical problem.

    He argues that the pleasure of trickery comes from strong feeling in terms of life beyond the real world, something forgotten eternally and strong feeling which feels like they experienced before.

    He highlighted that the pleasure does not come from extreme similarity with real objects. He stated people are happy when they see a painting because they have never seen it before rather than it is a work in perspective of Renaissance. It means this is not a trickery of reproducing the past but a way of painting which overturns conception of an object.


    동서의 융합
    현대의 회화에서 동양화와 서양화의 구별이 무의미하다는 점은 인정하지만, 그 뿌리를 앎으로 해서 적절한 대응이 가능하다는 측면이 있음 역시 무시할 수 없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알고 있는 수묵화(동양화)와 유화(서양화)의 스테레오타입을 이해해야 대결이 아닌 조화 내지는 융합이 가능해지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에 본인은 융합의 방법으로 동양의 정신을 서양의 기법으로 그리는 것이다. 먼저 동양화의 수묵화를 그린다. 여기서 말하는 동양화는 연구자가 생각하는 즉 연구자가 가지고 있는 동양화의 스테레오타입 이미지이다. 예를 들면 먹의 번짐을 포함하여 화면에 먹으로 칠하지 않은 여백이 있다든가, 일획에 의한 완성의 형태를 보이고, 수많은 그림을 그려서 그 중에서 작품을 골라내는 것 등이다.

    위의 기준에 부합하는 그림을 먼저 그린다. 철저하게 수묵화의 방법을 동원한다. 예를 들어 먹이 잘 번지는 종이를 사용하고, 똑 같은 그림을 수없이 많이 그린 다음, 그 중에서 그림이 될 것을 골라내는 식이다. 이후 이를 유화의 전통적인 작품제작 절차를 따라서 일정한 비례로 확대한다. 유화의 전통적 작품제작 절차 역시 연구자가 공부하여 스테레오타입화한 내용이다. 그 내용은 화면전체에 물감을 덮어 채워 그린다든가 계획적인 과정과 절차를 갖고, 격자 등을 활용하는 한편, 수 없이 많은 필획을 조합하여 결국은 붓 자국이 보이지 않는 사진처럼 된다는 점 등이다.

    위와 같이 서양화의 전통적인 기법이라 상정되는 방법으로, 이것을 보통 작게는 5∼6배, 크게는 10배 이상 확대하여 그린다. 일정한 비례로 확대하기 위해 격자를 사용하고 확대하고 비례에 맞추어 작은 점 하나까지 철저하게 사진처럼 그린다. 이런 과정은 모두 연필로 이루어진다. 그 방법은 척 크로스의 자화상 그리는 방법을 원용하였다. 척 크로스의 작품 제작은 일정한 크기의 격자로 나누어진 사진을 여러 배 확대하여 캔버스에 옮기는 과정을 거쳐 완성되는데 이는 서구 회화사에서 매우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다.

    Integration of the East and the West
    Admitting that there is no point to dichotomize Oriental painting and Western painting in contemporary art, proportional response is available if we understand their origins. Harmony or integration, not confrontation, can be achieved after understanding stereotypes of Sumi-e painting and oil painting.

    Therefore, the author draws oriental spirit with occidental technique.
    First of all, I draw a Sumi-e.
    This oriental painting is a stereotype image in oriental paintings which the author imagines.
    Leaving a space which is not painted or spread in ink , completion of work with only one stroke, choosing one piece among lots of drawings are good examples of my work.

    First of all, a picture which meet the above criteria is drawn with using drastic methods of Sumi-e painting.
    For example, papers of easy spreading effect of ink were used, a lot of same paintings were drawn and select the best picture among them. After that, it is enlarged to scale following the procedure of conventional oil painting. This traditional oil painting procedure is also a kind of stereotype that I learned from study. The followings are examples of practical procedure; Filling the screen by means of covering the whole picture with paints, making use of lattices to be seen like a picture with pre-planned process, and using numerous brush touching in order to be seen like a photo.

    And then, it is enlarged minimum five to six times or maximum more than ten times using traditional western technique.
    In a bid to enlarge a painting in scale, the lattice is used and the painting is drawn precisely like a photo, proportional to the original one. Pencils are used in all procedure. Portraying skill of Chuck Close was used in the procedure. His method is as below.
    A photo was divided into many squares with using a lattice and each division is enlarged, then they were drawn on a canvas.
    This technique has a very long tradition in western painting history.


    대립
    N C
    1 서양 동양
    2 좌뇌 우뇌
    3 이성 감성
    4 추상화 구상화
    5 사본 원본
    6 디지털 아날로그
    7 상징 형상
    8 데자뷔 자메이뷔
    9 필연 우연
    10 그리기 지우기
    11 여러 획 일획
    12 형상 여백
    13 개념 표현
    [표] 스테레오타입 이미지의 대립 쌍 허용 범위 표

    위<표>는 본인이 평소에 대비된다고 여겨지는 것들의 목록인데 이것들을 결합하고 경계를 해체하여 조화롭게 만드는 것이 본인의 최종 목표라 할 수 있다. 처음 연구자가 시작한 것은 동양화와 서양화의 대립 내지는 결합이었으나, 작업이 진행되면서 다양한 대립 쌍들을 고려하게 되었다.

    이렇게 해서 하나의 작품 속에 대비되는 요소의 경계를 해체하거나 융합하는 것이 본인의 목표이긴 하지만, 막상 작업을 진행하다 보면 여러 가지 요소가 하나의 화면에 담겨지기 마련이다.

    대립 쌍 역시 연구자와 사람들 생각 속에 자리 잡고 있는 스테레오타입의 이미지인 것이다. 이들을 어떻게 경계를 모호하게 만들고 혼성하여 스테레오타입 이미지를 해체하느냐 하는 것이 작품제작 절차의 가장 중요한 문제라 할 것이다.

    Confrontation
    N C
    1 Western Eastern
    2 Left Brain Right Brain
    3 Reason Emotion
    4 Abstract Figurative
    5 Copy Original
    6 Digital Analogue
    7 Symbol Figure
    8 Déjà vu Jamais vu
    9 Inevitability Coincidence
    10 Painting Erasing
    11 Lots of strokes One Stroke
    12 Figure Blank, Space
    13 Concept Expression
    [table 1] stereotype image confrontations

    The [table 1] shows the list of opposite meanings which the author regards as usual.
    The final goal of my work is harmonizing these concepts by means of union and integration. Confrontation or
    integration of oriental and occidental paintings were studied at the outset but various couples of confrontation took part in my work as time goes by.
    Although I aimed pulling down boundaries and integration of elements in a work, I cannot help putting various elements into one picture during the process of art job.
    Confrontation pairs are also stereotype images that exist in people's mind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e process of making works is how to make the boundaries obscure, mix them, and break up the stereotype images.

    전시제목최종식 28회 개인전_한전아트센터갤러리 공모초대

    전시기간2011.06.27(월) - 2011.07.04(월)

    참여작가 최종식

    초대일시2011-06-27 18pm

    관람시간10:00am~18:00pm

    휴관일없음

    장르회화와 조각

    관람료무료

    장소한전아트센터 갤러리 KEPCO ARTCENTER GALLERY (서울 서초구 효령로72길 60 )

    연락처02-2105-8190

  • Artists in This Show

한전아트센터 갤러리(KEPCO ARTCENTER GALLERY) Shows on Mu:umView All

  • 작품 썸네일

    정영환: YOUR GARDEN

    한전아트센터 갤러리

    2021.11.12 ~ 2021.11.20

  • 작품 썸네일

    이지희: Small But Strong

    한전아트센터 갤러리

    2019.06.30 ~ 2019.07.08

  • 작품 썸네일

    박은영 - 눈물꽃(Les fleurs s’épanouissent en pleurs...)

    한전아트센터 갤러리

    2012.07.23 ~ 2012.07.28

  • 작품 썸네일

    신진식展 ‘남용되는 금기(禁忌)산업 Taboo Industry’

    한전아트센터 갤러리

    2011.08.05 ~ 2011.08.11

Current Shows

  • 작품 썸네일

    윤정미: 사진으로 읽는 인천 근현대 소설전

    한국근대문학관

    2023.11.24 ~ 2024.04.28

  • 작품 썸네일

    지역 근현대 미술전 : 바다는 잘 있습니다

    창원시립마산문신미술관

    2023.12.12 ~ 2024.04.28

  • 작품 썸네일

    «가장 깊은 것은 피부다», «4도씨»

    세화미술관

    2024.01.30 ~ 2024.04.28

  • 작품 썸네일

    박지수: 빛 나는 그늘 Shining Shade

    갤러리 도올

    2024.04.12 ~ 2024.04.28

  • 작품 썸네일

    김윤신 《Kim Yun Shin》

    국제갤러리

    2024.03.19 ~ 2024.04.28

  • 작품 썸네일

    강서경: 마치 MARCH

    국제갤러리

    2024.03.19 ~ 2024.04.28

  • 작품 썸네일

    서동욱: 토성이 온다

    원앤제이 갤러리

    2024.03.16 ~ 2024.04.28

  • 작품 썸네일

    김정숙: 숨. Fullness, Calm, Wide, Deep

    전북도립미술관 서울관

    2024.04.13 ~ 2024.04.28